[STM32] 6. 풀업 저항 기본 원리
·
🧊 STM32
풀업 저항 (Pull-Up)풀업 저항은 디지털 회로에서 입력 핀의 기본 상태를 높은 전압(논리적 '1')으로 설정하기 위해 사용된다. 풀업 저항이 없으면 입력 핀이 떠다니는 상태(floating)가 되어 예기치 않은 전압 값을 가질 수 있다. 풀업 저항을 사용하면 입력 핀이 안정된 높은 전압 상태를 유지하게 된다.📌 1. 풀업 저항의 역할기본 상태 유지: 풀업 저항은 입력 핀이 아무 신호도 받지 않을 때 기본적으로 논리 '1' 상태(높은 전압)를 유지하도록 한다.안정성 향상: 회로의 안정성을 높여, 입력 핀이 불안정한 상태(플로팅 현상)에서 예기치 않은 동작을 방지한다.풀업 저항(R): 저항이 INPUT 핀과 Vcc(+5V) 사이에 연결된다.스위치: 스위치가 닫히면 INPUT 핀은 GND와 연결되어 논..
[STM32] 5. 내장 스위치 제어
·
🧊 STM32
STM32 내장 스위치 제어이번 포스팅은 STM32 보드에 있는 내장 스위치의 기능을 설명하고, 스위치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간단한 프로젝트를 포함한다. 하기 이미지와 같이 Arduino UNO, ATMega328P, STM32 Board 등 대부분의 개발 보드들은 테스트를 해볼 수 있게끔 스위치를 내장하고 있다. 다음 포스팅에 소개할 예정이지만 이런 보드들의 스위치들은 풀업 저항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. 풀업 저항은 전원단에 저항이 있는 회로로 노이즈에 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양산 제품들이 이 회로를 사용하고 있다.📌 1. STM32 내장 스위치스위치의 역할: 스위치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물리적 구성: 대부분의 STM32 보..
[라즈베리파이] LED 점멸 (feat.LED에 무슨 저항을 꼽아야 할지 모를때)
·
📟 Embeded SW/Raspberry Pi
안녕하세요. 오늘은 처음으로 라즈베리파이 GPIO에 무언가를 연결해서 실습해봅니다. 아두이노, AVR, 라즈베리파든 어떤 것이 되었든 처음은 LED로 시작해야겠지요?? 우선 LED부터 준비하겠습니다. 일단 집에 굴러다니는 LED 하나 씩 주워옵니다. 무슨 색인지, 전압이 어떻게 되는지 아무도 모릅니다. 혹시 집에 측정기를 가지고 계시나요? LED는 발광 다이오드로 순방향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역할을 합니다. 한마디로 그냥 PN다이오드이고 순방향 전압이 흘렸을 때 빛이 난다는 것입니다. led는 다이오드이기 때문에 측정기를 다이오드에 두고 측정해보겠습니다. 다이오드 버튼에 갖다두고 (+) : 긴다리 ; 빨간색 봉 => GPIO 선 (저 같은 경우는 2번에 연결함) (-) : 짧은 다리 : 검은색 봉=..
18진수